기본개념 정리
Windows 운영체제는 장치 독립적이다(어떤기기든 드라이버만 깔면 사용 가능) 윈도우는 Message 기반 구동 프로그램이고 Message 는 양의 정수값이다. 인스턴스(INSTANCE) 메모리에 로드되어 실행된 프로그램을 운영체제가 확인하기 위해 할당하는 양의 정수값을 말한다. 동일한 프로그램은 같은 인스턴스 값을 가지고 있다. 핸들(handle) 핸들은 운영체제의 자원을 사용하거나 윈도우를 생성할 때, 운영체제로부터 할당되는 양의 정수값이다. 고유 ID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HWND, HDC, HPEN, HBRUSH, HBITMAP --> void* 형이다. ------------------------------------------------------------------------- WinMain() 의 주된 역할 : 윈도우의 생성 윈도우 속성 설정 및 등록 윈도우 생성과 출력 메시지 루프(WinProc 호출) WinProc() 의 주된 역할 : 메시지의 처리, 콜백(Call Back) 함수이다 API 프로그래밍 작성 순서 6가지 1단계: 윈도우 클래스 구조체 2단계: 윈도우 구조체 등록 3단계: 윈도우 생성 4단계: 윈도우 출력 5단계: 메시지 루프 6단계: 메시지 처리 함수인 WndProc() 의 작성 참고 http://nowcampus.tistory.com/ API 2장 참고 |
윈도우 창에 텍스트 띄우기 (wsprintf사용) 1. 글자가 들어갈 변수 선언 ( ex TCHAR lpOut[1024]; ) 2. DC 얻어오기 (WM_PAINT 메시지 안에서는 BeginPaint로 , 이외의 공간에서는 GetDC로 얻어온다. 3. TextOut(DC, left좌표, top좌표, 저장공간, 들어올 문자의 길이) 로 출력 설정 4. wsprintf(저장공간, TEXT("출력할 서식문자: %d %f 등", 실제 출력할 값) 으로 출력 |
'Programming > A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ag성 메시지와 함수 (0) | 2014.06.06 |
---|---|
API 2일차 도형 움직이기, 총알쏘기(06.05) (0) | 2014.06.06 |
API 1일차 개요(0602) (0) | 2014.06.05 |